예비군 5년 차, 훈련 제대로 준비하기
동원미지정자, 올해 훈련 어떻게 달라졌을까
예비군 훈련은 해마다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정확한 내용을 알고 있어야 한다.
특히 5년 차 동원미지정자라면 훈련 일정과 방식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.
괜히 깜빡하고 있다가 불참 처리되면 벌금이 부과될 수도 있다.
올해 훈련 일정, 준비 사항, 그리고 유용한 팁까지 정리했으니 확인해보자.
예비군 5년 차 훈련, 이렇게 진행된다
올해 예비군 5년 차 동원미지정자는 총 20시간의 훈련을 이수해야 한다.
훈련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.
기본훈련 (8시간)
- 과학화 예비군 훈련장에서 하루 동안 진행된다.
- 오전부터 저녁까지 진행되므로 체력 관리를 잘해야 한다.
작계훈련 (12시간)
- 전반기 6시간 + 후반기 6시간으로 나뉜다.
- 일부는 원격 교육으로 대체 가능하다.
- 나머지는 직접 소집돼서 훈련해야 한다.
작계훈련의 경우 원격 교육을 활용할 수 있으니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.
훈련 일정, 언제 해야 할까
훈련 일정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.
- 전반기 작계훈련: 보통 2~3월
- 기본훈련: 4~5월 (한여름 전에 끝내는 것이 좋다)
- 후반기 작계훈련: 8~9월 (늦추면 날씨가 추워질 수 있다)
훈련 날짜는 카카오톡 알림이나 네이버 문서함을 통해 통보되지만,
예비군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.
훈련 준비물, 까먹으면 고생한다
예비군 훈련을 가기 전에 필수 준비물을 챙기지 않으면 불편을 겪을 수 있다.
다음 항목을 꼭 확인하자.
- 복장: 군복, 군화, 군모, 전투조끼
- 개인 장비: 예비군 훈련통지서 (스마트폰에 캡처해 두는 것이 좋다)
- 도착 시간: 훈련 시작 30분 전까지 도착하는 것이 안전하다
- 물과 간식: 중간에 배고프면 힘들 수 있다
- 마스크: 혹시 모르니 챙겨두는 것이 좋다
훈련장에 도착했는데 군화를 안 챙겼다면 하루 종일 고생할 수밖에 없다.
불참하면 벌금? 연기 신청은 이렇게
훈련을 불가피하게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연기 신청을 반드시 해야 한다.
연기 신청 없이 무단으로 불참하면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.
- 사전 연기 신청 필수 (질병, 직장 일정 등 정당한 사유 필요)
-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
- 훈련 당일 불참하면 불이익 발생
특히 연기 신청 없이 그냥 불참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
예비군 5년 차들이 궁금해하는 것들
훈련을 꼭 다 받아야 하나요?
- 네. 총 20시간 훈련을 모두 이수해야 한다.
- 기본훈련 8시간과 작계훈련 12시간을 완료해야 끝난다.
원격 교육으로 대체 가능한가요?
- 작계훈련 일부는 원격 교육이 가능하다.
- 하지만 기본훈련은 반드시 소집훈련으로 참석해야 한다.
훈련 불참하면 벌금이 부과되나요?
- 연기 신청 없이 무단 불참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.
- 벌금은 최대 200만 원까지 부과될 수 있다.
예비군 훈련, 제대로 준비하면 어렵지 않다
훈련을 가는 것이 귀찮을 수 있지만, 한 번 다녀오면 속 편하게 끝낼 수 있다.
특히 올해는 작계훈련 일부가 원격 교육으로 대체 가능하므로 이 점을 잘 활용하면 된다.
훈련 일정과 준비 사항을 미리 확인하고 철저히 준비한다면 큰 문제 없이 마칠 수 있을 것이다.
여러분의 예비군 훈련 경험은 어땠는가?
올해 훈련 일정이나 유용한 팁이 있다면 공유해 보자.